투자용어의 첫장은 PER로 시작하겠습니다.
도대체 PER가 뭐길래 투자 전에 PER를 확인하는 걸까요?
먼저 PER에 대해 공부하기 전에 EPS라는 주당 순이익 개념을 알아야합니다.
EPS(earning per share)는
기업이 벌어드린 순이익을 해당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순이익 / 주식 수
전적으로는 1주당 얼마의 이익을 창출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그 회사가 1년간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정의합니다.
주식은 회사의 주인이라는 증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 거래는 위의 증서를 사고 파는 행위라고 볼 수 있죠. 회사를 매수하려고 하는 입장에서 한개의 주식을 매입한다면 돌아오는 이익을 EPS라고 합니다. 즉, 주주에게 돌아오는 가치입니다.
EPS가 높으면 투자 가치가 높다는 말도 사실이지만 개인적으로는 높고 낮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해당 기업의 주식을 보유한다면 돌아오는 이익이 EPS정도 되겠구나 생각하는 용도라고 생각합니다.
EPS에 대해 알았다면 이젠 본격적으로 PER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PER의 사전적 정의는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로 기업의 주식가격을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입니다.
주식가격 / 주당순이익(EPS)
한개의 주식 가격이 1,000원이라고 하고, 해당 기업은 1년에 100원을 벌어드릴 때, 이 기업의 주가수익비율은 10입니다.
( 1,000 / 100 => 10 )
통상적으로는 낮은 PER의 기업이 저평가 되었다고 말합니다.
(1,000 / 200 => 5 )
또한 PER는 상대적 평가임으로 같은 산업군의 비교 대상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PER를 통해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기도 합니다.
PER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많이 존재하지만 저는 순이익이 결국 PER에 끝이라고 생각합니다.
PER에 숫자가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해당 기업의 순이익이 증감이 투자에있어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PER를 움직이는 것도 해당 회사의 순이익이 결정하며, 성장성 역시 산업군이 침체된 것이 아니라면 혹은 침체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해당 회사의 순이익이 늘어난 다면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PER에 있어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볼 개념은 회사의 순이익이 증가하는가? 순이익 증가의 이유는 무엇인가?
앞으로 지속해서 순이익이 증가할 수 있는가? 입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께서도 PER에 대한 집착보다는 해당 기업의 순이익을 공부하시는게 성공하는 투자에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모두 기업의 순이익에 집중해서 좋은 기업을 발굴하고 성공하는 투자합시다~!
'주식투자 > 투자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ROE(자기자본이익율) ROA(자산이익율) EV/EBITDA (0) | 2020.08.11 |
---|---|
[주식용어]EPS(주당순이익) PER(주가수익비율) BPS(주당순자산) PBR(주가순자산비율) 의미 (0) | 2020.08.10 |
기업 분석 방법 첫번째 Check! (0) | 2020.02.03 |
워렌버핏의 투자원칙 - 잃지마라 (0) | 2020.01.21 |
댓글